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오라클
- react
- Logging
- svelte
- fetch
- InteliJ
- post
- NextJS13
- Test
- NextJS
- nodejs
- ubuntu
- gradle
- Java
- loguru
- Shell
- fastapi
- vuex
- Vue3
- vitejs
- Python
- Spring
- JUnit
- Vue
- sveltekit
- EUREKA
- d3js
- springboot
- npm
- style
- Today
- Total
목록Spring (13)
양군의 행복한 이야기
개발 중 application.properties파일은 resource디렉토리 하위에 위치한다. 이건 구동시에 classpath에 포함되어 자동으로 로드 된다. 이 설정 파일은 빌드시에 자동으로 jar안에 포함되어 설정파일이 없어도 기본으로 읽어 들여서 사용된다. 자동으로 설정파일이 바이너리에 포함되는건 편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설정 파일 하나 변경하는데 빌드를 다시하는것도 웃긴 상황이다. 그리하여 구동시 jvm옵션으로 외부에서 설정파일을 입력할수 있다. java.exe -jar app.jar --spring.config.location=file:./application.properties 요렇게 하면 된다.

조건에 따라서 테스트 진행을 한다. 환경변수나 상태를 확인하여 이후 테스트를 진행하는 메서드 이다. assumeTrue/assumeFalse : true/false일 경우만 이후 테스트를 진행 한다. Assumptions.assumeTrue(System.getProperty("IS_TEST").equals("TRUE")); Assumptions.assumeFalse(System.getProperty("IS_TEST").equals("FALSE")); // 뒤에 원하는 상태가 아닐시 반환하는 메시지를 넣을수 있다. Assumptions.assumeTrue(System.getProperty("IS_TEST").equals("TRUE"), ()->"테스트 상태가 아니다."); Assumptions.assume..
테스트 결과를 확인하는 메서드 이다.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항목은 아래와 같다. assertEqulas(expected, actual) : 실제 값이 기대한 값과 같은지 확인 assertEquals(true, false, "assert equals check"); //or assertEquals(true, false); assertNull(actual)/assertNotNull(actual) : 값이 null/not null 여부 확인 assertNull(new Object(), "assert null check"); assertNotNull(null, "assert not null check"); //or assertNull(new Object()); assertNotNull(null) assert..

많이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은 아래와 같다. @Test @BeforeAll, @AfterAll @BeforeEach, @AfterEach @Disabled @DisplayName @Test - 해당 메서드가 테스트임을 JUnit에게 알려준다. @BeforeAll, @AfterAll - 해당 클래스 단위로 가장 먼저 또는 가장 마지막에 실행 된다. static으로 선언되어야 한다. @BeforeEach, @AfterEach - 클래스에 있는 메서드가 각각 실행될때 마다 메서드 시작전, 시작 후 에 각각 실행 된다. @Disabled - 이 클래스나 메서드를 테스트 하지 않는다. @DisplayName - 해당 클래스나 메서드의 이름을 지정한다.
src/test/java/co/kr/junit/study/ApplicationTest.java package co.kr.junit_study;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True;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SpringBootTest --> 1 class ApplicationTest { @Test -->2 @DisplayName("기본 테스트 시작") --> 3 void contextLoads() { System.out..

서비스를 구축 중 유레카와 컨피그 서버를 이중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잊기 전에 기록을 남긴다. 유레카 서버 설정 build.gradle plugins {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7.1'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1.RELEASE' id 'java' } group = 'com.example'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7' repositories { mavenCentral() } ext { set('springCloudVersion', "2021.0.3")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

두번째 시간이다. 기본 셋팅 방법 https://start.spring.io/ 에서 신규 프로젝트를 만든다. jdk 11설정 , gradle 설정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의존성은 기본 스프링 부트만 있으면 된다.
일단 정의부터 JUnit(제이유닛)은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용 유닛 테스트 프레임워크이다. JUnit은 테스트 주도 개발 면에서 중요하며 SUnit과 함께 시작된 XUnit이라는 이름의 유닛 테스트 프레임워크 계열의 하나이다. JUnit은 컴파일 타임에 JAR로서 링크된다. 프레임워크는 JUnit 3.8 이하의 경우 junit.framework 패키지 밑에 상주하며, JUnit 4 이상의 경우 org.junit 패키지 밑에 상주한다. 깃허브에 호스팅된 10,000개 자바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 2013년 수행된 연구 조사에 따르면 JUnit(slf4j-api과 연결된)은 가장 흔히 포함시킨 외부 라이브러리였다. 각 라이브러리는 프로젝트 가운데 30.7%에 사용되었다.[3] JUnit - 위키백과, 우리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