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pring
- JUnit
- ubuntu
- Vue3
- npm
- react
- post
- NextJS
- style
- fastapi
- gradle
- sveltekit
- vitejs
- Test
- Logging
- springboot
- nodejs
- loguru
- NextJS13
- svelte
- d3js
- 오라클
- Python
- vuex
- Vue
- fetch
- EUREKA
- Java
- InteliJ
- Shell
- Today
- Total
양군의 행복한 이야기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본문
VSCode로 SpringBoot 개발환경 셋팅 후..
Java파일로 실행시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로 시작하는 오류가 발생된다.
IntelliJ로 개발시는 속도 이슈로 실행 환경을 IntelliJ로 변경 하고 했기에 이런 이슈가 없었다..
실행 명력어를 잘 보면 C:\Users\USER_NAME\AppData\Local\Temp\cp_6izud8idgc5e8g25evhe518rz.argfile' 'co.kr.xxx.XXXXApplication'
VSCode 설정으로는 컴파일이 bin디렉토리에 되는데 말이지..
일단 실행은 해야겠으니..
Gradle 플러그인을 설치한다.
https://marketplace.visualstudio.com/items?itemName=vscjava.vscode-gradle
Gradle for Java - Visual Studio Marketplace
Extension for Visual Studio Code - Manage Gradle Projects, run Gradle tasks and provide better Gradle file authoring experience in VS Code
marketplace.visualstudio.com
이걸 선택한 이유는 마이크로 소프트가 제작자여서 믿음을 줬기 때문이다. 다른 이유는 없다.
설치 후 외쪽 텝에서 코끼리를 누르면
bootRun을 선택 하면 실행이 아주 자알 된다.
이게 파일로 실행시 gradle의 컴파일된 경로로 실행을 해서 그런거 같은데
기본 bin에서 실행하는 방법은 찾아봐야겠다....